반응형
:::: 주의 ::::
SVN 설치한 후에
apache 데몬 restart 시 Error 가 발생한다.
해결법은
[IT + ing.../Linux(unix)] - Apache :: SU Linux에 apache 다시 컴파일 해보기~!
참고해보자..
리눅스에 제로보드XE를 설치하는 과정을 위해 생각하다가..
문득...
SVN(Subversion) 이란 걸 사용해보고 싶어졌다..
음..이건, 쉽게 얘기하자면 어떤 프로그램이 업데이트 되었을 때
내가 업데이트 해야할 부분만 골라서 받는 녀석이랄까??
우선은..맨땅에 헤딩하기 보다..ㅎㅎ SU Linux 홈페이지에서 검색을 해봤더니
묻고답하기 게시판에 해당 내용이 있어서 내용을 토대로 시도해보았다.
다음은 닉네임 사악한셩 님의 글이다.(옥타비 님의 보조답변 추가^^)
apr 는 /usr/local/apr 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고
arp-util 은 /usr/local/arp-util 에 설치시키고
neon 은 /usr/local/include/neon 에 기본 설치가 된다.
그럼 이제 1번 항목을 진행해보자.
arp-1.2.8.tar.gz 파일과 arp-util-1.2.8.tar.gz 파일을 받았다면 먼저 압축해제를 하자
(파일을 받지 못했다면 wget 을 이용해 받을 수도 있다. 하단 참고하자)
압축 파일은 /usr/local/src 디렉토리에 넣어주고 시작하자 ^^;
그러면 arp-1.2.8 디렉토리와 arp-util-1.2.8 디렉토리에 압축해제가 되었을 것이다.
자 여기까지 따라왔다면 arp와 arp-util 은 설치되었다.
2번 항목을 진행해보자
설치하는건 뭐..별다를건 없다~
역시 이렇게 따라하면 /usr/local/include/neon 디렉토리가 생성되어 있을 것이다.
3번 항목을 진행하기 이전에 추가적인 사항이 있다
바로 openssl 을 설치해야하는 것.
어떤 연관이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은 하지 못했지만
openssl 이 없이는 svn을 제대로 설치하지 못한다.
따라서 openssl 최신버전을 받아 설치하도록 하자.
openssl 은 /usr/local/ssl 에 설치된다.(prefix 미지정시)
이제 드디어 subversion 을 설치해보자.
subversion은 최신버전을 다운받아서 설치했다. 1.5.0 버전이었다.
또한 subversion-deps를 추가적으로 받아야 하는데
이것은 svn을 사용하는데 필수적인 라이브러리들을 포함하고 있다.
겨우겨우 긴 여정끝에 subversion 까지 설치가 완료되었다..
다만... 한가지 문제가 또 생기게 된다.
apache 데몬을 재기동 시켜야 하는데 에러가 나고 재기동이 불가능하게 된다.
이 문제는 Apache 설치시 컴파일할 때 --enable-dav 항목이 빠져서 생기는 문제라고 한다.
안타깝게도 SU Linux에 apmtools 로 설치한 Apache 를 무시하고 새로 컴파일 해야하는 것이다..ㅠㅠ
필자도 Apache 2.0.59 버전만을 다시 수동 컴파일 해서 설치하는 방법으로 찾고 있다..
해결하게 되면 알려드리도록 하겠다...ㅠㅠ
SVN 설치한 후에
apache 데몬 restart 시 Error 가 발생한다.
해결법은
[IT + ing.../Linux(unix)] - Apache :: SU Linux에 apache 다시 컴파일 해보기~!
참고해보자..
리눅스에 제로보드XE를 설치하는 과정을 위해 생각하다가..
문득...
SVN(Subversion) 이란 걸 사용해보고 싶어졌다..
음..이건, 쉽게 얘기하자면 어떤 프로그램이 업데이트 되었을 때
내가 업데이트 해야할 부분만 골라서 받는 녀석이랄까??
우선은..맨땅에 헤딩하기 보다..ㅎㅎ SU Linux 홈페이지에서 검색을 해봤더니
묻고답하기 게시판에 해당 내용이 있어서 내용을 토대로 시도해보았다.
다음은 닉네임 사악한셩 님의 글이다.(옥타비 님의 보조답변 추가^^)
SU Linux 질답게시판 해당 내용
apr 는 /usr/local/apr 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고
arp-util 은 /usr/local/arp-util 에 설치시키고
neon 은 /usr/local/include/neon 에 기본 설치가 된다.
그럼 이제 1번 항목을 진행해보자.
arp-1.2.8.tar.gz 파일과 arp-util-1.2.8.tar.gz 파일을 받았다면 먼저 압축해제를 하자
(파일을 받지 못했다면 wget 을 이용해 받을 수도 있다. 하단 참고하자)
압축 파일은 /usr/local/src 디렉토리에 넣어주고 시작하자 ^^;
cd /usr/local/src
wget http://archive.apache.org/dist/apr/apr-1.2.8.tar.gz
wget http://archive.apache.org/dist/apr/apr-util-1.2.8.tar.gz
tar xvzf arp-1.2.8.tar.gz
tar xvzf arp-util-1.2.8.tar.gz
그러면 arp-1.2.8 디렉토리와 arp-util-1.2.8 디렉토리에 압축해제가 되었을 것이다.
cd arp-1.2.8
./configure; make; make install
cd ..
cd arp-util-1.2.8
./configure --prefix=/usr/local/apr-util --with-apr=/usr/local/apr
자 여기까지 따라왔다면 arp와 arp-util 은 설치되었다.
ls /usr/local/실행해보면 arp 디렉토리와 arp-util 디렉토리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.
2번 항목을 진행해보자
설치하는건 뭐..별다를건 없다~
cd /usr/local/src
wget http://www.webdav.org/neon/neon-0.26.1.tar.gz
tar xvzf neon-0.26.1.tar.gz
cd neon-0.26.1
./configure; make; make install
역시 이렇게 따라하면 /usr/local/include/neon 디렉토리가 생성되어 있을 것이다.
3번 항목을 진행하기 이전에 추가적인 사항이 있다
바로 openssl 을 설치해야하는 것.
어떤 연관이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은 하지 못했지만
openssl 이 없이는 svn을 제대로 설치하지 못한다.
따라서 openssl 최신버전을 받아 설치하도록 하자.
cd /usr/local/src
wget http://www.openssl.org/source/openssl-0.9.8h.tar.gz
tar xvzf openssl-0.9.8h.tar.gz
cd openssl-0.9.8
./config; make; make install
openssl 은 /usr/local/ssl 에 설치된다.(prefix 미지정시)
이제 드디어 subversion 을 설치해보자.
subversion은 최신버전을 다운받아서 설치했다. 1.5.0 버전이었다.
또한 subversion-deps를 추가적으로 받아야 하는데
이것은 svn을 사용하는데 필수적인 라이브러리들을 포함하고 있다.
cd /usr/local/src컴파일시 apr, arp-util, neon, openssl 을 포함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.
wget http://subversion.tigris.org/downloads/subversion-1.5.0.tar.gz
wget http://subversion.tigris.org/downloads/subversion-deps-1.5.0.tar.gz
tar xvzf subversion-1.5.0.tar.gz
tar xvzf subversion-deps-1.5.0.tar.gz
cd subversion-1.5.0.tar.gz
./configure --with-apr=/usr/local/apr --with-apr-util=/usr/local/apr-util \
--with-neon=/usr/local/include/neon --with-openssl=/usr/local/ssl
make; make install
겨우겨우 긴 여정끝에 subversion 까지 설치가 완료되었다..
다만... 한가지 문제가 또 생기게 된다.
apache 데몬을 재기동 시켜야 하는데 에러가 나고 재기동이 불가능하게 된다.
/usr/local/apache/bin/apachectl restart실행해보면 에러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.
apachectl restart 에러
이 문제는 Apache 설치시 컴파일할 때 --enable-dav 항목이 빠져서 생기는 문제라고 한다.
안타깝게도 SU Linux에 apmtools 로 설치한 Apache 를 무시하고 새로 컴파일 해야하는 것이다..ㅠㅠ
필자도 Apache 2.0.59 버전만을 다시 수동 컴파일 해서 설치하는 방법으로 찾고 있다..
해결하게 되면 알려드리도록 하겠다...ㅠㅠ
반응형
'IT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entos 7] nslookup: command not found (0) | 2018.03.06 |
---|---|
Apache :: SU Linux에 apache 다시 컴파일 해보기~! (2) | 2008.07.22 |
FXP :: 서버로 Passive 모드 강제 접속 !! (0) | 2008.07.19 |
Permission :: 리눅스/유닉스의 퍼미션(접근제어,접근권한) (4) | 2008.07.14 |
vsFTP :: FTP 접속을 했는데 뭔가 느려..? (Passive mode 해제) (0) | 2008.07.09 |